"ESG 추진 수익성 고려해야, 정부는 규제 관점 접근 지양 필요"…한경연 보고서

국내 10대 그룹 ESG 위원회 현황. 한경연 제공
국내 10대 그룹 ESG 위원회 현황. 한경연 제공

기업의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주목받고 있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ESG를 투자 지표로 활용하는 글로벌 투자 금액은 2014년 21조4000억 달러에서 2020년 2배 규모인 40조5000억 달러로 늘었습니다.

지난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투자 최우선 순위를 ESG로 발표했습니다.

국민연금도 2022년까지 전체 운용 자산의 절반을 ESG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이렇게 중요성이 높아진 ESG가 자본 시장에서 자율적 가이드라인으로 장려돼야 하고, 규제 관점의 접근은 지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18일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하 한경연)가 낸 'ESG의 지배구조 개선과 기업가치' 보고서에서 입니다.

이 보고서는 국내외 지배구조(G) 개선 사례를 조사한 결과,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 성과는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지배구조 측면에서 글로벌 기업들은 경영진 보상이나 다양성 측면 보완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하고 이사회 의장과 대표를 분리하는 등 이사회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ESG 경영을 위한 컨트롤타워를 신설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는 반기업 정서가 강한 국내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우려가 높았기 때문에 오히려 국내 기업이 글로벌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성과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한경연은 봤습니다.

아울러 이 보고서는 기업이 미래에 대한 장기적 관점에서 ESG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ESG가 재무적 성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ESG 도입에 주저하게 된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 이규석 부연구위원은 "ESG는 사회 전체적으로 긍정적일 수 있지만, ESG를 개별 기업의 수익성 지표로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면서 "기업은 수익성과 ESG를 연동시킨 모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보고서는 국내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제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ESG 경영을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