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보다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안전망은 여전히 헐겁다. 비장애인들의 무관심도 여전하다. 사회는 오로지 비장애인들 위주로만 성장했다. 길거리 흔하디흔한 보도블록만 해도 비장애인들의 편의 위주로 설계된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은 울퉁불퉁한 보도블록 길이 늘 무섭다. 짧은 신호등 보행시간도 늘 불안한 건 마찬가지다. 그렇다보니 장애인들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자는 목소리는 늘 끊임없었다. 물론 아무리 큰 목소리를 내도 사회 곳곳에 제대로 전달되기까지는 수십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런 노력 끝에 마련된 안전망이 응급안전알림서비스나 문턱을 낮춘 지하보도 등이다.

그런데 문턱을 없앤 지하철 보도는 늘 그 사이로 장애인들의 발이나 휠체어가 빠지지 않을까를 걱정해야했고, 응급안전알림서비스는 위기 떄 정작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적이 많았다. 늘 불안에 떨어야하는 장애인들의 삶이다.

사회보장정보원의 응급안전알림서비스 오작동 현황에 따르면 지난 4년간 13097건의 응급안전서비스 장비 오작동이 발생했다. 장비의 문제 때문인데, 수천건의 오작동 사례가 있어도 여전히 고쳐지지 않고 있다는 게 문제다.

얼마 전 신길역 휠체어리프트 장애인 추락사에 대해 법원이 서울교통공사에 13200만원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이미 사고사를 당한 장애인은 이 세상에 없다. 사후 때늦은 배상 판결이 남긴 건 앞으로 두 번 다시 비슷한 일을 만들지 말라는 경고도 있다. 그러나 비장애인들의 사회는 늘 이 같은 장애인들의 작은 권리마저 빼앗고, 급기야 목숨까지도 빼앗아 간다.

신길역에서 휠체어리프트를 이용하려다가 계단으로 추락해 사망한 장애인 고() 한경덕씨의 유족들은 지금에서야 가족의 한을 풀게 됐지만, 한 씨 사고사의 결정적인 원인이었던 호출 버튼이 리프트 인근에 없는 곳은 여전하다. 사회적으로 장애인들의 안전망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이유다.

한편 서울교통공사 측은 고인의 사고 이후, 신길역을 포함 휠체어리프트가 위치한 역의 호출 버튼을 안전한 곳으로 이격 설치했다며 장애인을 포함한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해 현재 277개 역사 중 253개 역에 안전한 1동선을 확보,(확보율 91.3%), 나머지 역에도 동선 확보를 위한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고 해명했다.

사진=박명규 기자
사진=박명규 기자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