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자리' 이번 대선서도 최대 화두…경제 단체 소통 늘리며 의견 청취할 듯

대한상의 회관(왼쪽)과 경총 회관. 장시복 기자
대한상의 회관(왼쪽)과 경총 회관. 장시복 기자

올 여름, 재계가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경제 위기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내년부터 최저임금이 5.1% 오른 시급 9160원이 될 예정입니다.

내년 1월 시행에 들어가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시행령은 다소 기준이 불분명해 일선 현장에서 혼란이 일고 있습니다.

기업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경제 단체들도 분주합니다. 문재인 정부의 최저임금 1만원 공약에는 도달하지 않았지만 "폐업·일자리 대란이 일수 있다"며 최저임금 인상에 지속 반발하고 있습니다.

경영 책임자들이 모호한 법령으로 중대재해법 처벌을 받지 않도록 정부에 지속 건의를 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20대 대선(2022년 3월 9일) 레이스가 본격 막을 올리며 경제 단체들도 긴장하는 분위기가 역력합니다.

대선 주자들과 경제 단체는 불가근 불가원의 사이입니다.

기업인들과 함께 만날 수 대화 할 있는 소통 창구이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너무 가까워지면 기업 편만 든다는 오해를 살 수 있습니다.

과거에도 주요 대선 후보들은 경제단체를 찾아 정책 간담회를 열고 기업들 의견을 경청하는 게 관례였습니다.

2010년대 들어 18대 대선부터는 '경제 민주화'가 여야 모두의 공통 화두가 되면서 대기업 중심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보다는 대·중소기업을 아우르는 법정단체인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로 중심추가 옮겨간 분위기입니다.

더욱이 4대그룹 총수 중 처음으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대한상의 회장을 맡으면서 무게감이 더 남달라졌습니다.

중소기업을 대표하는 중소기업중앙회나 노사 이슈가 주전공인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비중도 더욱 커졌습니다.

과거 일부 경제단체장들이 대선 후보 공약에 대해 '쓴소리'를 이어가다 정권 초 극심한 갈등을 빚었던 사례들도 있던 터라, 이번 대선 시즌에 경제 단체들이 제 목소리를 낼 지도 관심사입니다.

여전히 표심은 '먹고 사는 문제'를 누가 잘 풀수 있을 지에 쏠려 있기 때문입니다.

대선 후보들도 코로나 19 확산 속에서 국민들의 최대 관심사인 부동산, 경제, 청년 일자리 공약을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있어 경제단체들과 동반자로서 어떤식으로 호흡을 맞춰 나갈 지가 주목됩니다.

또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돼 이번 정부 내내 '패싱' 됐던 전경련이 차기 정부와 어떤 식으로 관계를 설정할지, 다시 역할과 존재감을 드러내며 재기를 할 지에도 이목이 집중됩니다.

손경식 경총 회장(CJ그룹 회장)은 경총과 전경련 두 민간 종합경제단체 간 통합을 통해 재계 싱크탱크로서 규제를 완화하고 반기업 정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시너지를 내야 한다는 입장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기도 합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