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포스코
사진=포스코

건설노동자들은 다양한 직업병을 가지고 산다. 극한 노동환경에서 회사를 위해 일하다 몸만 축난다. 직업병을 얻어도 하소연할 길이 만무하다. 정확히 해당 질병이 회사의 노동 중 발생한 것인지를 증명해야하기 때문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고용노동부 산하 안전보건공단은 ㈜포스코와 하청업체를 포함한 철강제조업을 대상으로 집단 역학조사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역사조사는 노측의 주장보다는 사측의 성실한 업장 내 환경 공개가 우선돼야 한다. 노동자들이 직업병을 얻을 만한 근거를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금속노조는 26일 성명을 내고 "현재 금속노조를 비롯한 노동단체에 접수되는 직업성 질병 사례는 포스코 정규직 노동자들만이 아니라, 다수의 하청노동자도 포함되어 있다"며 "하청노동자는 포스코의 위험작업 외주화로 인해 다수의 노동자가 사전예방과 사후대책의 사각지대에 방치된 상황이다. 최근 중대재해 사망노동자들의 대다수가 하청노동자인 것도 심각한 것이다. 이번 역학조사는 1차 철강제조업 노동자로 국한할 것이 아니라, 더 열악한 노동조건과 환경에서 작업하는 2차, 3차 노동자와 플랜트 건설노동자, 촉탁직 및 계약직 노동자로 대상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고용노동부의 특별감독과 안전진단 등에 노동조합과 노동조합이 추천하는 전문가의 참여 보장을 요구해왔다"며 "이번 역학조사에도 이 요구는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포스코 현장을 가장 잘 알고, 탁상행정과 땜질식 처방을 방지하기 위해선, 노동조합과 노동조합이 추천하는 전문가의 참여를 반드시 수용해야 할 것"이라며 "이미 금호타이어, 여수산단 역학조사에 노동조합이 참여한 사례가 있다. 반복되는 포스코 특별감독 때와 같이, 포스코가 노동조합 참여를 반대한다는 명분 없는 답변을 노동부가 반복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스코 최정우 회장에 대한 질타도 나왔다.

금속노조는 "포스코 최정우 회장은 현장노동자, 노동조합, 고용노동부, 국회의 노동안전보건 혁신의 요구에 뒷짐만 지고 있다"며 "1조 원 이상의 안전예산 투입은 보이지 않고, 구체적인 혁신은 사라졌다. 금속노조가 요구한 직업성 질병 실태조사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최정우 회장은 여전히 답변도 반응도 없이 버티고 있다"고 질타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